TIPs/주식

ISHARES 10-20Y TREASURY BOND 주가 분석

AI Prompt 2025. 10. 12. 22:24
728x90
TLH는 만기 10~20년 미 국채에 분산 투자하는 패시브 ETF로, 중장기 듀레이션 노출을 제공해 장기물(TLT·VGLT)보다 변동성은 낮추고, 중기물(IEF)보다 금리 하락 베네핏은 키우는 절충형 프로필을 제시한다. 월 분배, 금리 사이클·커브 변화에 민감. 😅

 

📖 ETF 소개(Overview)

iShares 10–20 Year Treasury Bond ETF(TLH)잔존만기 10~20년 미국 재무부 채권으로 구성된 지수를 추종해. 수익률 하락채권가격 상승으로 자본차익을 기대할 수 있고, 월 분배 형태의 쿠폰 인컴도 제공해. 장기물 위주의 ETF 대비 듀레이션이 짧아 금리 상승기 하방 변동성을 일부 완화하면서, 중기물 대비 금리 하락 레버리지는 더 크게 가져갈 수 있어.


🧭 포지셔닝 & 운용 포인트

  • 만기 대역(10–20y): 초장기(20y+)와 중기(7–10y)의 중간 지점에 위치—총수익/변동성 균형.
  • 듀레이션·컨벡시티: 장기물보다는 낮고, 중기물보다는 높은 중간 수준의 금리 민감도.
  • 인컴 특성: 월 분배(분배금은 시장금리·편입채권 쿠폰에 따라 변동).
  • 커브 베팅: 베어/불 스티프닝·플래트닝수익률곡선 변화에 따른 민감도는 장단기 사이 절충.
  • 자산배분 적합성: 포트폴리오의 핵심 채권(코어) 슬리브로 쓰기 좋음.

🚀 강세(상승) 요인

  1. 금리 하락/완화 기대: 인플레 둔화·경기 둔화 → 10~20년 구간 수익률 하락 시 가격 상승 + 인컴.
  2. 변동성/리스크 균형: 장기물 대비 낮은 DD·VaR, 중기물 대비 더 높은 하락 레버리지.
  3. 분산 효과: 주식과의 상관이 낮아지는 국면에서 포트폴리오 변동성 완충.
  4. 리밸런싱 효율: 주식 급락 구간에서 완충재로 작동, 정책 피벗 시 탄력적.

📉 약세(리스크) 요인

  1. 금리 상방 리스크: 물가 재가열·성장 서프라이즈 → 수익률 상승 시 가격 하락.
  2. 정책·공급 변수: 재정적자 확대·미 국채 순공급 증가, 커브 스티프닝은 역풍.
  3. 듀레이션 리스크: 중장기 노출 특성상 단기물보다 변동성↑.
  4. 환율 노출(원화 기준): USD/KRW 변동에 따른 추가 손익(환헤지 선택).
728x90

📈 기술적 관점 & 트레이딩 메모(일반론)

  • 단기: CPI·PCE·고용·연준 발언 전후 변동성 확대—포지션 사이징/헤지 점검.
  • 중기: 실질금리·BEI(브레이크이븐 인플레), 커브 기울기(5s10s/10s20s) 모니터.
  • 장기: 총수익(가격+분배) 관점으로 보유, 계단식 분할 매수/재진입으로 듀레이션 타깃팅.

오실레이터 팁: RSI <35=과매도 / >70=과열. 이벤트 드리븐 구간은 시장가 회피, IOC/LOC 지정가 활용.


💡 투자 인사이트(전략)

  • Bull 시나리오: 디스인플레 + 성장 둔화 → 중장기 금리 하락TLH 가격↑ + 인컴.
  • Base 시나리오: 혼조 지표·박스권 금리 → 분배 중심 보유 + 주식 변동성 헤지 역할.
  • Bear 시나리오: 인플레 재가속/성장 서프라이즈 → 중장기 금리 상승가격 하락(듀레이션 손실), 인컴으로 일부 상쇄.

🧪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

  • 듀레이션 허용치: 허용 일별 변동성·최대낙폭(DD) 사전 정의.
  • 페어 트레이드: TLH 롱 vs 단기물(1–3y) 또는 TIPS 스프레드, 커브 트레이드(5s10s/10s30s).
  • 헤지 툴킷: 금리선물/옵션, 필요 시 환헤지(USD/KRW).
  • 리밸런싱 룰: 금리 레벨·커브 위치 기준 분할 진입/이탈.

🧾 퀵 팩트 시트

  • ETF/티커: iShares 10–20 Year Treasury Bond / TLH
  • 자산군: 미 국채(잔존만기 10~20년)
  • 핵심 특성: 중장기 듀레이션, 월 분배, 패시브 지수 추종
  • 적합 투자자: 장기물의 급격한 변동을 피하면서 금리 하락 베네핏을 확보하려는 중장기 투자자

❓ FAQ

Q1. TLH vs TLT/VGLT 차이는?
A. TLH는 10~20년 대역, TLT/VGLT는 20년+ 중심. TLH는 변동성↓·레버리지(하락 민감도)도 중간의 절충형.

Q2. 분배금은 고정인가요?
A. 아니야. 시장금리·포트폴리오 쿠폰에 따라 월별 변동 가능.

Q3. 지금 사면 금리 오르면 손해 아닌가요?
A. 단기 손실 가능. 분할 매수·헤지·커브 스프레드로 듀레이션을 관리하고, 총수익 프레임으로 평가하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