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아이베다 솔루션스 주가 분석

Iveda Solutions(아이비다 솔루션즈, NASDAQ: IVDA)는 클라우드 기반 AI 영상감시·검색 솔루션과 IoT 플랫폼으로 스마트시티·보안·실버케어 시장을 공략하는 초소형(마이크로캡) 테크 기업이다. 미국(본사: 애리조나 메사)와 대만 법인을 통해 AI 영상 분석, 스마트 센서, 게이트웨이, 실시간 위치추적(RTLS), 스마트 유틸리티 등을 공급하며, 실제 매출은 대만 정부·엔터프라이즈 프로젝트 비중이 크다. 2024년 연매출은 약 602만 달러, 순손실은 약 400만 달러 수준으로 지속 적자·현금 유출이 이어지는 가운데, 시가총액은 약 400만 달러에 불과한 초고위험 저가주다. 😅

 

1. 회사 개요

  • 회사명: Iveda Solutions, Inc. (브랜드: Iveda)
  • 티커: IVDA (NASDAQ) Investing.com+1
  • 본사: 미국 애리조나주 메사(Mesa, AZ) LinkedIn+1
  • 섹터 / 업종:
    • 기술(Technology) / 보안·감시 및 IoT 솔루션
  • 직원 수: 32명(2024년 기준) StockAnalysis+1
  • 시가총액: 약 380만~400만 달러 수준(2025년 11월 기준, 주가 약 0.65달러) StockAnalysis+1

Iveda는 약 20년 전부터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감시 기술을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해 왔고, 현재는 AI 기반 지능형 영상 검색·분석과 IoT 플랫폼, 스마트 센서/디바이스를 결합해 스마트시티·에너지 효율·실버케어·보안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아이베다+2아이베다+2

투자자들 사이에선 티커를 따서 “IVDA 솔루션즈”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공식 회사명은 Iveda Solutions라는 점을 참고하면 좋다.


2. 비즈니스 모델 & 주요 제품

2-1. 사업 구조

  • 지리적 세그먼트:
    • Iveda US(미국)
    • Iveda Taiwan(대만) – 공공·엔터프라이즈 프로젝트 비중이 높음 Hargreaves Lansdown+1
  • 주요 고객:
    • 대만 통신사·SI·공공기관(중화텔레콤, 대만 증권거래소, 공공 안전 프로젝트 등)에 매출 집중
    • 2024년 기준 상위 5개 고객이 매출의 약 67% 차지 – 고객 집중도 상당히 높음 증권거래위원회+1

2-2. 핵심 제품·플랫폼

Iveda의 핵심은 AI 영상분석 + IoT + 클라우드 결합이다.

  • IvedaAI
    •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엔진
    • 객체·얼굴·차량 인식, 이벤트 탐지, 이상행동 감지 등
    • 엣지 또는 데이터센터(클라우드) 모두 배포 가능 MarketScreener+1
  • Cerebro 플랫폼
    • 여러 이기종 시스템·디바이스를 한 대시보드에서 관리하는 통합 소프트웨어
    • 스마트시티, 캠퍼스, 빌딩 등 대규모 환경에서 센서·카메라·서브시스템을 연동 관리 MarketScreener
  • Iveda RTLS / IvedaCare / 스마트 센서·게이트웨이
    • 실시간 위치추적(RTLS), 노인 케어 솔루션, 환경·유틸리티 모니터링, 스마트 드론, 스마트 유틸리티 캐비닛 등 다양한 IoT 디바이스 라인업 보유 아이베다+2MarketScreener+2
  • 스마트시티·Safe City 프로젝트
    • 공항, 상업 빌딩, 쇼핑몰, 호텔, 은행, 지방정부 Safe City 프로젝트에 영상감시 시스템 구축·통합 수행(주로 대만) ivedataiwan.com

수익 구조는 프로젝트 기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매출 + 구독형 AI 영상분석 라이선스 조합으로, 특히 대만측 프로젝트 매출 변동에 따라 실적이 크게 출렁이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TradingView+1


3. 재무·밸류에이션 스냅샷 (연간 + 최근 분기)

3-1. 연간 실적 (연결 기준)

  • 2024년 매출: 약 602만 달러 (2023년 649만 달러 → 소폭 감소) NASDAQ
  • 매출 구성:
    • 대만: 515만 달러
    • 미국: 87만 달러 – 매출 대부분이 대만에서 발생 MarketScreener
  • 2024년 순손실: 약 400만 달러 (2023년 410만 달러, 2022년 330만 달러 수준) 증권거래위원회+2증권거래위원회+2
  • 누적 결손금: 2023년 말 기준 약 4,700만 달러의 누적 적자 증권거래위원회

3-2. 재무 상태

  • 현금 및 현금성 자산(2024년 말):
  • 영업활동현금흐름: 2024년에 약 –440만 달러(현금 유출) 증권거래위원회

→ 즉, 작은 매출에 비해 적자·현금 유출 규모가 크고, 추가 자금조달(증자·전환사채 등) 가능성을 늘 염두에 둬야 하는 구조다.

3-3. 시가총액·주가 흐름

  • 시가총액: 약 380만~400만 달러 StockAnalysis+1
  • 주가: 약 0.65달러(2025년 11월 21일 기준), 52주 범위 0.61~8.05달러 – 1년 사이 고점 대비 사실상 ‘10분의 1 토막’ 수준 변동성 Barron's+1
  • 1년 수익률: –60~–70%대, YTD –80%대 하락 구간(지표마다 차이) MarketScreener+1

4. 상승 요인 (Bullish 포인트)

  1. 스마트시티·AI·IoT 장기 성장 스토리
    • 도시 디지털 전환, 스마트시티, CCTV 고도화, 실버케어, 에너지 효율 등은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된다.
    • Iveda는 AI 영상분석 + IoT 플랫폼 + 다양한 디바이스를 모두 보유하고 있어, “작지만 포트폴리오가 넓은 플레이어”라는 점은 스토리상 매력 포인트. 아이베다+2Saxo+2
  2. 대만 공공·엔터프라이즈 프로젝트 트랙 레코드
    • 대만 공공기관·통신사·대기업을 대상으로 Safe City·보안 프로젝트 경험을 축적해 왔다. 증권거래위원회+2ivedataiwan.com+2
    • 신흥국·중동·아시아 등에서 스마트시티 수요가 증가할 경우,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추가 수주 기회를 노릴 수 있다.
  3. 최근 분기 손실 축소 (단, 매출 감소 동반)
    • 2025년 3분기: 매출 165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31%)에도 불구하고, 운영손실은 –21만 달러로 65% 감소, 순손실도 –22만 달러(–62%)까지 줄어들며 손실 폭이 축소되는 모습. TradingView
    • 고마진 계약 비중 확대와 비용 절감을 통해 “적자 축소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시그널로 볼 수 있다.
  4. 초소형 시가총액 → 뉴스·테마에 따른 급등 가능성
    • 시총이 수백만 달러 수준에 불과해, 파트너십·계약 수주·스마트시티 관련 뉴스 하나에 단기 급등이 나올 수 있는 구조다. StockAnalysis+2StockAnalysis+2
728x90

5. 하방 요인 (Bearish 리스크)

  1. 지속 적자 + 현금 유출 + 누적 결손금
    • 2022~2024년 3년 연속 수백만 달러 단위 순손실, 누적 결손금 4,700만 달러 이상, 2024년 영업현금흐름 –440만 달러. 증권거래위원회+2증권거래위원회+2
      → **“언제까지 버틸 수 있나”**가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다.
  2. 고객·지역 편중 리스크
    • 2024년 상위 5개 고객이 매출의 67%를 차지, 그 중 상당수가 대만 기업·기관. 증권거래위원회+2증권거래위원회+2
    • 특정 프로젝트 지연·취소, 대만 경기·정책 변화 등에 실적이 크게 흔들릴 수 있는 구조다.
  3. 극단적 변동성과 저가주(펀더멘털과 무관한 급등락)
    • 52주 고점 8달러대 → 저점 0.6달러대까지 큰 폭 하락, 1년 수익률 –60% 이상. Barron's+2MarketScreener+2
    • 거래대금이 많지 않은 구간에서는 작은 수급에도 주가가 폭등·폭락하는 “테마주·동전주” 성격이 강하다.
  4. 나스닥 상장 유지 요건(1달러 미만 구간 지속 시) 이슈 가능성
    • 나스닥은 보통 30거래일 이상 1달러 미만이 지속되면 최소주가 요건 관련 경고(Deficiency Notice)를 줄 수 있다(일반 규정 상식 차원의 설명).
    • 공식 경고 여부와 관계없이, 장기간 저가 구간 유지 → 역분할(Reverse Split)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다.
  5. 경쟁이 매우 치열한 시장
    • AI 영상분석·스마트시티·IoT 영역은 글로벌 대형 IT·통신·클라우드 기업들이 이미 진입해 있는 레드오션. Saxo+1
    • Iveda 같은 초소형 업체는 기술력뿐 아니라 채널·브랜드·재무 여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다.

6. 체크포인트 & 투자 포지셔닝

6-1. 계속 체크하면 좋을 포인트

  1. 분기별 매출·마진 추이
    • 매출이 줄어들면서 손실만 줄고 있는지,
    • 아니면 매출 성장과 함께 흑자 전환 가능성이 보이는지를 숫자로 확인해야 한다. TradingView+1
  2. 현금 잔고와 자금조달 뉴스
    • 260만 달러 수준의 현금이 향후 몇 분기까지 버틸 수 있는지,
    • 증자·CB·워런트 발행 등 희석 이벤트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모니터링 필요. 증권거래위원회+1
  3. 스마트시티·글로벌 파트너십/수주 공시
    • 이집트·필리핀 등에서의 스마트시티·보안 프로젝트 진출 뉴스 등은 단기 모멘텀 요인이 될 수 있다. Investing.com+2StockAnalysis+2
  4. 나스닥 상장 유지 관련 공시 여부
    • 최소주가 요건, 역분할(Reverse Split) 계획 등 상장 관련 이슈가 나오는지 체크.

6-2. 어떤 포지션으로 볼까?

  • 가능한 포지션
    • 대형 우량주 중심 포트폴리오에서 아주 소액으로 “하이리스크·하이리턴 AI/스마트시티 로또 티켓” 정도로 접근하는 투자자
    • 공모주/스팩/테마주 등 고위험 종목을 경험해 본, 변동성에 익숙한 공격적 투자자
  • 비추천에 가까운 투자자 유형
    • 배당·현금흐름 안정성을 중시하는 인컴형 투자자
    • 원금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싶은 보수적 장기 투자자
    • 투자 심리가 흔들리기 쉬운 초보 투자자

7. Q&A (FAQ)

Q1. IVDA는 지금 돈을 벌고 있나요?
아니요. 최근 수년간 순손실이 이어지고 있으며, 2024년에도 약 4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매출 규모도 600만 달러 안팎으로 작고, 누적 결손금도 상당한 수준이다. NASDAQ+2증권거래위원회+2


Q2. 그래도 매출은 성장하고 있나요?
→ 2021~2023년에는 매출이 190만 → 447만 → 649만 달러로 늘었지만, 2024년에는 602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2025년 3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31% 매출 감소가 나온 상태라, “고성장 스토리”로 보기는 어렵고 프로젝트 단위 변동성이 상당히 큰 편이다. NASDAQ+1


Q3. 최근 분기 적자가 많이 줄었다는데, 이는 긍정적인 신호인가요?
→ 2025년 3분기 기준 손실 폭이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든 것은 분명 긍정적이지만, 매출이 줄어든 상황에서 비용 절감으로 만든 개선이라 지속 가능성을 더 지켜봐야 한다. 앞으로 몇 개 분기 연속으로 “매출 성장 + 흑자 전환 방향”이 나오는지가 관건이다. TradingView+1


Q4. 어떤 투자자에게 어울리는 종목일까요?
→ IVDA는

  • 초소형 시총,
  • 지속 적자,
  • 높은 고객·지역 집중도,
  • 극단적 변동성을 모두 가진 종목이다.
    “스마트시티·AI 영상감시”라는 테마성이 마음에 들고, 잃어도 괜찮은 소액으로만 고위험 베팅을 하는 투자자에게나 고려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방어적인 일반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훨씬 크다.
728x90
250x250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