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어플라이드 디지털 주가 분석
※ Applied Digital(APLD)은 AI·HPC 워크로드에 맞춘 차세대 데이터센터 설계·운영 및 호스팅/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력 조달·냉각·서버 밀도 최적화로 단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 호스팅 계약·컴퓨트 임대로 매출 가시성을 높인다. 핵심 변수는 가동 용량 램프, 계약 단가/기간, 전력 비용, 고객 집중도, 자본 조달이다. 😅
📖 기업 개요(Overview)
- 무엇을 하나?
고밀도(HPC/AI) 워크로드에 맞춘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운영과 코로케이션/호스팅·클라우드 형태의 컴퓨트 제공을 수행. 일부 사이트는 저원가 전력 접근성과 대면적 부지를 활용해 확장성에 초점을 둠. - 수익 모델
① 장·단기 호스팅 계약(월/연 단위 용량 과금), ② 클라우드형 컴퓨트 임대(시간·월 과금), ③ 운영/유지보수 및 부가서비스. - 운영 철학
전력·열관리·네트워킹을 통합 설계해 총소유비용(TCO) 을 낮추고, 빠른 랙 인입·턴업(roll-out) 으로 고객의 리드타임을 단축.
🧭 포지셔닝 & 투자 테마
- AI 인프라 사이클의 수혜주: 학습·추론 확대로 데이터센터 전력/밀도 수요가 급증 → 호스팅·컴퓨트 임대 단가/가동률 상향 여지.
- 전력 조달 우위: 장기 전력 계약·수요반응(DR)·부하 관리 등으로 변동비 안정화에 주력.
- 애셋-라이트/모듈형 확장: 고가 장비 자체 보유 비중을 조절하고 고객 장비+시설 임대 조합으로 현금 회수기간(ROI) 단축을 지향.
- 워크로드 믹스 전환 옵션: 암호화 채굴 호스팅→AI/HPC 비중을 높여 멀티 엔진 구조로 리레이팅을 노림.
💼 매출·마진 드라이버(체크리스트)
- 탑라인
- 활성화 전력/랙 수(가동 용량) 램프와 임대/호스팅 단가(ARPU)
- 장기 계약 비중·잔여기간(백로그 가시성)
- 클라우드/온디맨드 컴퓨트의 가동률·혼잡도
- 마진/현금흐름
- 전력 단가·PUE(전력사용효율) 및 냉각 효율
- 사이트별 고정비(임대/세금/보안)와 운영 자동화
- 캡엑스→수주 전환 속도와 장비 리드타임
- 재무 안정성
- 현금·신용 라인·차입 구조와 만기 프로파일
- 잠재 희석(증자·전환증권) 관리
- 고객 집중도/채무불이행(credit) 리스크
🚀 주가(가치) 상승 요인 | Bullish
- 대형 호스팅/컴퓨트 계약 체결·갱신 및 가동 용량의 계획 대비 조기 램프.
- 전력 조달·효율 개선으로 총마진 구조 상향(PUE 개선, 냉각 혁신).
- 워크로드 믹스 업그레이드(암호화→AI/HPC 비중↑)에 따른 평균 단가 상승.
- 부채 구조 개선·현금흐름 턴어라운드로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축소.
📉 하락/리스크 요인 | Bearish
- 전력/송전 제약·현지 규제로 인한 사이트 인입 지연 및 허가 리스크.
- 대형 고객 의존으로 계약 변경·해지 시 실적 변동성 확대.
- 자본 조달 환경 경색(금리·크레딧 스프레드 확장)으로 캡엑스 집행·증설 지연.
- 경쟁 심화(하이퍼스케일·전통 코로케이션·전력 강점을 보유한 신규 진입).
- 암호화 사이클 잔존 노출: 암호화 호스팅 비중에 따라 수요·요율 변동성 확대 가능.
728x90
📈 기술적 관점 & 트레이딩 메모(일반)
- 뉴스 베타 高: 수주 공시, 사이트 램프/전력 계약 업데이트, 분기 실적·가이던스, 자금 조달에 민감.
- 체결 전략: 이벤트 전후 분할 매매 + 지정가(IOC/LOC) 으로 슬리피지 관리.
- 오실레이터 팁: RSI ≤35=과매도 / ≥70=과열—헤드라인 직후 가짜 돌파/이탈 유의.
💡 투자 인사이트(전략)
- Positive 시나리오: (i) 가동 용량의 계획 상회 램프, (ii) AI/HPC 향 단가 개선과 PUE/전력 단가 하향, (iii) 부채 재조정·현금창출 전환 → 멀티플 리레이팅.
- Base 시나리오: 핵심 사이트 중심으로 계약·가동률을 안정화하고, 모듈형 증설로 수요 변동에 대응.
- Negative 시나리오: 전력·허가 병목 + 조달비 상승 + 고객 이벤트가 중첩될 경우 가이던스 하향·밸류 리셋.
🧾 퀵 팩트 시트
- 회사/티커: Applied Digital Corporation / APLD
- 비즈니스: AI·HPC 특화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호스팅/클라우드 컴퓨트 제공, 전력·운영 최적화
- 핵심 지표(KPI): 가동 전력/랙 수, 가동률, 평균단가(ARPU), PUE, 계약 잔고, 조정 EBITDA/현금흐름
- 모니터링 포인트: 전력 계약·PPA, 신규/갱신 수주, 증설 캡엑스·리드타임, 고객 집중·신용 이슈, 자본 조달·희석
❓ FAQ
Q1. 코로케이션(호스팅)과 클라우드 임대의 차이는?
A. 코로케이션은 고객 장비/랙을 장기 용량으로 맡기는 형태, 클라우드 임대는 분·시간 단위로 온디맨드 컴퓨트를 빌려 쓰는 모델이야.
Q2. 전력 비용 리스크는 어떻게 관리하나?
A. 장기 전력 계약·헤지·수요반응 프로그램으로 변동성을 낮추고, 효율(PUE) 개선으로 단가를 낮추는 전략이 핵심.
Q3. 암호화 노출이 부담인데?
A. 워크로드 다변화(AI/HPC 비중 확대) 로 민감도를 줄이고, 장기 호스팅 계약으로 매출 가시성을 확보하는 방향이 관건.
Q4. 가장 먼저 볼 공시는?
A. 대형 수주/갱신, 사이트 가동률·증설 진행, 전력/부지 계약 업데이트, 분기 실적·현금흐름이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