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Val K-Memo는 머신러닝실시간 시장 데이터를 활용해 도메인 가치를 추정하고, 검색량 기반 가격 범위, TLD(확장자) 비교, 판매 통계까지 한 화면에 제공하는 도메인 감정 서비스다. .com/.net/.org/.io 등 다양한 확장자를 지원하며, 입력 후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브랜딩·중고 도메인 매입·포트폴리오 관리에 유용하다. 😅

 

한눈에 보는 핵심 기능 요약

  • AI 기반 감정: 머신러닝으로 다차원 신호를 종합 평가(가중치·패널티/어드밴티지 개념 포함). 결과를 ‘종합 점수’ 형태로 제시한다. 
  • 검색량 기반 가치 분석: 키워드/브랜드 신호가 반영된 **시장 기준 추정가(가격 범위)**를 보여준다. 
  • TLD 비교: 동일 문자열의 다른 확장자 대비 점수/예상 가치를 함께 비교한다. 신규 TLD 선택 시 유용하다. 
  • 판매 현황/최근 거래 피드: 총 판매 건수·평균/최고/최저 판매가와 최근 판매 내역·TLD별 평균가를 확인해 **시세 감(感)**을 얻는다. 
  • 즉시 결과 & 다국어: 입력 후 몇 초 만에 결과가 나오며,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스페인어/프랑스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구조 & 사용 흐름

1) 상단 입력 → 감정하기

랜딩 상단의 입력창에 평가할 도메인을 넣고 **“감정하기”**를 누르면 분석이 시작된다. 진행 상태는 “도메인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메시지로 안내되며, 잠시 뒤 종합 점수와 세부 블록이 순차 로딩된다. 초보자도 단계 설명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단순하다. 

2) 종합 점수(Overall Score)

화면 중앙부에 ‘종합 점수’가 먼저 보인다. 이 값은 검색량/브랜드성/문자열 구성/TLD 신호/패널티·어드밴티지 등을 종합한 결과로, 비교/스냅샷 용도로 유용하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는 이 점수를 기준으로 보유 도메인의 상대 우선순위를 정리하기 좋다. 

3) 검색량 기반 가치 분석(가격 범위)

다음 블록에서 **시장 기준 추정가($ 최소~최대)**가 제시된다. 이 영역은 실제 키워드 검색량·시장 데이터를 반영하여 현실성 있는 벤치마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뒤이어 상세 검색량 분석 라인과 함께 가격 형성의 근거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4) TLD 비교 & 상세 평가 요소

동일 문자열의 .com/.net/.org/.io 등 확장자별 예상 가치·점수를 비교해 준다. 최근에는 브랜드·앱·개발자 제품군에서 io나 신생 gTLD 채택이 늘고 있어, 브랜딩 맞춤형 확장자 선택 시 실전적 근거가 된다. 이와 함께 상세 평가 요소·Total Penalty/Advantage도 노출되어 점수 변동의 이유를 파악하고, 개선 여지를 체크할 수 있다. 

5) 판매 현황/최근 거래/TLD별 평균가

총 판매 건수, 평균/최고/최저가최근 판매 내역(일자/플랫폼/가격)TLD별 평균가 순으로 표가 구성된다. 이를 통해 호가가 아닌 실거래 정황을 참고할 수 있으며, 구매·매도 타이밍과 레퍼런스 제시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쓰면 제값 뽑는다: 역할별 시나리오

A. 브랜드/마케터

  • 후보 도메인 리스트를 만들어 일괄 평가 → 종합 점수 상위권만 남긴다.
  • TLD 비교로 .com이 비싸거나 선점된 경우의 대안 확장자를 찾는다.
  • 검색량 기반 가치가 낮게 나오면 네이밍을 다듬거나, 연관 키워드로 리네이밍한다. 

B. 도메인 투자자(세컨더리 마켓)

  • 드랍캐치/경매 직전 가격 범위최근 판매 평균을 참고해 입찰 상한선을 잡는다.
  • Total Penalty/Advantage를 보고, 하이픈/숫자/길이 등 구조적 약점을 체크해 과감히 패스할 대상을 솎아낸다.
  • TLD별 평균가를 보며, 특정 확장자에 거래가 몰리는지 확인한다.

C. 스타트업·개발팀

  • MVP 단계에서는 저렴한 대체 TLD를 쓰되, 브랜드 확장 단계에서 .com 마이그레이션의 예산 범위를 미리 가늠한다.
  • 즉시 결과 특성을 살려 네이밍 스프린트 회의에서 실시간 평가를 돌려 의사결정을 가속한다. 

수치 뒤의 맥락 읽기(미세 팁)

  1. 검색량은 ‘의도’의 단면
    검색량은 인지도와 직결되지만, 브랜드·철자 난이도·오타 변형 등으로 왜곡될 수 있다. 가격 범위만 보지 말고, 상세 평가 요소에서 무엇이 플러스/마이너스로 작동했는지 확인하자. 
  2. TLD는 용도/지역성 변수
    .io는 기술/개발 생태계, .org는 공익/커뮤니티 기여의 뉘앙스를 준다. 시장/타깃에 맞는 함의를 고려해 선택하고, TLD 평균가를 참고해 과대평가/저평가를 가늠한다. 
  3. 판매 통계는 ‘참고치’
    평균가·최고가가 희귀 케이스에 끌려갈 수 있다. 가능하면 동일 카테고리/길이/키워드군의 최근 거래를 보며 현 시점 시세를 읽자. 

FAQ (사용자 관점)

Q1. 결과가 ‘즉시’ 나오는 이유는?
A. 서버에서 사전 구축된 ML 모델실시간 시장 데이터를 조합해 신속 계산하기 때문. 각 블록은 비동기로 로딩되어 체감 속도가 빠르다.

Q2. 검색량 기반 가격 범위만 믿어도 되나?
A. 가격은 브랜드 적합성·법적 리스크·타이핑 난이도 등 추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상세 평가 요소/패널티·어드밴티지를 함께 보자. 

Q3. .com이 없으면 투자가치가 떨어지나?
A. 업종/고객층에 따라 대체 TLD가 더 적합할 수 있다. TLD 비교TLD 평균가로 합리적 선택을 하자. 

Q4. 최근 판매 내역은 어디서 오나?
A. 서비스의 도메인 거래 데이터 반영 섹션을 통해 업데이트된다. 시세 레퍼런스로 활용하되, 구체 거래 조건(길이/카테고리/철자)을 병행 확인하자. 


케이스 스터디(활용 예)

  • 리브랜딩: 짧은 5~6자 영문 도메인을 다수 후보로 수집 → 종합 점수 상위 × 가격 범위 합리적 조합을 우선 라인업. TLD 비교로 .io와 .com의 체감 가성비를 맞춘다. 
  • 도메인 포트폴리오 정리: 보유 자산을 일괄 평가해 점수 하위·패널티 큰 도메인을 정리하고, 판매 통계 평균가 이상으로 팔릴 여지가 있는 상위권만 유지.
  • 앱 출시 전 검증: 앱명과 동일한 도메인 후보들을 넣어 검색량 기반 가치 차이를 비교, 해외 진출 고려 시 다국어 UI 지원까지 점검. 

마무리: “도메인은 숫자로 말한다”

Val K-Memo도메인 평가의 핵심 축(검색량·브랜드성·확장자·시장거래)을 한 번에 수치화해 준다. 입력 → 감정하기 → 결과 해석이라는 직관적 흐름으로, 브랜딩·투자·제안서 작업의 속도를 눈에 띄게 줄여준다. 오늘 후보 도메인을 3~5개만 넣어 보라. 가격 범위·TLD 비교·판매 통계가 말해주는 신호를 보면, 살 도메인·보류할 도메인이 명확해진다. 그리고, 바뀌지 않는 사실 하나: 좋은 이름은 ROI를 만든다. 그 가치를 수치로 확인하자.


추후 개발 예정

추가 기능들을 더 개발 할 예정입니다.

728x90
250x250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