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GSI 테크놀로지 주가 분석
※ GSI 테크놀로지(GSIT) 는 래드하드(Rad-Hard)·우주/국방급 SRAM과 ‘제미니(Gemini)’ 연산용 APU(Associative Processing Unit) 를 축으로 ‘메모리 내 연산(Compute-in-Memory, CIM)’ 기반의 초저전력 AI 가속을 공략한다. 2025-10-20 공개된 연구·보도에 따르면 CIM APU가 GPU급 AI 성능을 대폭 낮은 에너지로 달성했다. 2025 회계연도 실적과 **FY26 1분기 매출 6.3M달러·총이익률 58.1%**로 체질 개선 조짐. FY26 2분기 실적 발표는 10/30 예정. 😅
📖 기업 소개(Introduction)
GSI Technology, Inc.(NASDAQ: GSIT) 는 캘리포니아 서니베일 본사(델라웨어 법인)의 팹리스 반도체 기업이다. 20년 넘게 고성능 SRAM/LLDRAM을 통신·네트워킹 및 항공우주/국방 시장에 공급해 왔고, 최근에는 제미니 APU로 벡터검색/정보검색(RAG), SAR(합성개구레이더), 케모인포매틱스 등 대규모 데이터·저전력 AI 워크로드를 공략 중이다.
🧾 회사 개요(Company Overview)
- 회사명/티커: GSI Technology, Inc. / GSIT
- 상장시장: 나스닥
- 본사: 미국 CA 서니베일(1213 Elko Dr)
- 핵심 라인업:
- 메모리: 고성능 SRAM/LLDRAM, 방사선 내성(Rad-Hard/Tolerant)·Class-Q/V 등급 제품군(위성·국방용)
- AI/연산: Gemini APU(연상처리·CIM 구조). GPU급 처리량과 극저전력을 목표로 대규모 검색/추론 가속
🔔 최근 이슈 & 캘리스트(2025년)
- CIM APU, GPU급 성능 입증: 코넬대 주도 연구 공개와 함께 “GPU 클래스 성능·에너지 절감” 보도(ACM MICRO ’25 발표 예정). 장중 주가 급등세 동반.
- FY26 1분기 실적(’25.7.31): 매출 6.3M달러, 총이익률 58.1%. 고객 믹스 변화와 제품 믹스 개선이 수익성에 기여.
- FY26 2분기 이벤트: 2025-10-30 장마감 후 실적 발표·컨퍼런스콜 예정.
- 美 육군 SBIR 선정(’25.1.17): 엣지 AI 컴퓨팅 고도화 과제(최대 25만달러) 채택. 기술 트랙션 확인.
🧬 기술 포인트: ‘메모리 내 연산(Compute-in-Memory)’ APU
- 구조적 차별화: 전통적 GPU는 연산-메모리 분리로 대역폭·전력 병목이 크지만, CIM APU는 메모리 어레이에서 직접 연산해 데이터 이동 최소화 → 에너지/지연 단축을 노린다. 최근 공개 결과는 GPU급 처리량과 대폭 낮은 에너지(>98% 절감 사례) 를 시사.
- 적용 워크로드: 벡터검색·RAG·SAR·바이오/케모 인포매틱스 등 메모리 바운드 과제에서 효율 극대화.
- 로드맵 힌트: 커뮤니티/보도 요약에는 Gemini-II가 Gemini-I 대비 대략 10배급 처리량·저지연 목표를 언급. 상용화 타임라인·스펙은 공식 업데이트 모니터 필요. (보도 요약 기반, 확정 사양 아님)
728x90
📈 ‘상승(강세) 요인’ vs ‘하방(리스크) 요인’
✅ 강세 시그널
- 외부 검증(코넬·ACM 발표): GPU급 성능·에너지 효율 입증으로 차별화 내러티브 강화. 초기 고객 PoC/디자인윈 가능성 확대.
- 이중 축 포트폴리오: 국방·우주급 SRAM의 안정 수요/긴 수명주기 + AI APU 성장 옵션의 업사이드 결합.
- 체질 개선 신호: **FY26 1Q 총이익률 58.1%**로 믹스 개선 가시화. 매출도 YoY +35%.
- 공공부문 트랙션: 미 육군 SBIR 선정 등 국방 엣지 AI 접점 확대.
⚠️ 리스크 체크
- 상용화·생태계 장벽: GPU(쿠다·에코시스템) 잠식은 소프트웨어 포팅·툴체인·SDK가 관건. 벤치 성과와 실전 워크로드 성능/비용 간 간극 위험.
- 스케일 리스크: FY2025 매출 역성장·순손실 지속(연간 순손실 축소)—소형사 특성상 자금·인력 제약.
- 계약 규모/불확실성: SBIR 등 초기 과제 규모는 제한적. 대형 디펜스·산업 설계반영까지 시간 소요.
- 주가 변동성: 기술 이슈·헤드라인에 고변동(마이크로캡). 과거에도 제품 발표/밈 버즈로 급등락.
💵 실적·재무 스냅샷
- FY2025(결산 3/31): 연매출 전년 대비 −6%, 순손실 축소(~$10.6M). 고객·유통 채널 구성, 재고·운전자본 관리가 핵심.
- FY26 1Q(’25.6월 분기): 매출 $6.3M, 총이익률 58.1%. 고객 상위 비중(예: Cadence, Nokia 등) 변동.
- 다가올 이벤트: FY26 2Q 실적 10/30 발표—APU 파일럿·수주·매출 기여 여부, OPEX/현금흐름, GM 트렌드 주목.
🧭 투자 체크리스트(실전 가이드)
- ① 제품화 로드맵: Gemini-II/보드(LEDA 등) 공급 계획·스펙·SDK 공개 범위 확인. (공식 IR/보도자료 크로스체크)
- ② 고객 파이프라인: 디펜스/SAR·산업용 검색·RAG 레퍼런스와 설계반영(Design-win) 공시.
- ③ 재무 관리: 분기 GM·R&D·현금/희석 추적(10-Q/8-K). FY26 2Q 코멘트에서 수주·견적 파이프라인 확인.
- ④ 생태계/툴체인: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적합성(벡터DB, RAG 스택)—이식 난이도·개발자 경험(DevEx) 체크.
- ⑤ 밸류에이션/리스크: 헤드라인 변동성 대응해 분할 접근·시장가 주문 자제·포지션 한도 설정.
🔮 기술·미래 전망(Tech & Outlook)
서사(Narrative): **“SRAM(현금흐름 방어) + CIM APU(성장 옵션)”**의 투트랙 모델. CIM의 전력/대역폭 이점이 검색·엣지 AI에서 실사용으로 확산되면 단계적 리레이팅 가능. 다만 GPU 생태계 견고함·고객 PoC→양산 설계반영까지의 시간차를 감안해야 한다.
💡 투자 인사이트(한 줄 정리)
- 포지티브 시나리오: CIM APU의 성능·전력 이점 검증 → 파일럿→디자인윈로 이어지고, 국방·우주 SRAM 유지 매출이 받쳐주면 멀티플 재평가 여지.
- 네거티브 시나리오: 생태계 장벽·영업 지연, FY 실적에서 현금소진/희석 우려 부각 시 밸류에이션 리셋.
❓ FAQ
Q1. GSI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A. 래드하드·고신뢰 SRAM의 방어적 캐시카우와 CIM APU의 저전력 AI 성장 옵션을 동시에 보유.
Q2. 정말 GPU급 성능이 가능한가요?
A. 2025-10-20 공개된 연구·보도/보도자료에서 GPU 클래스 처리량·대폭 낮은 에너지 결과가 제시됨(학회 발표 예정). 구체 수치는 워크로드·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Q3. 가까운 실적 촉매는?
A. FY26 2Q 실적(10/30)—APU 매출 기여·수주 업데이트·GM 트렌드가 핵심 관전 포인트.
Q4. 국방 관련 레퍼런스는?
A. 美 육군 SBIR 과제 선정(엣지 AI). 또한 래드하드 SRAM은 위성·국방 플랫폼에서 사용.
728x90